본문 바로가기

공무직 뜻2

2025년 공무직 급여, 월급 (세전, 세후 연봉 실수령액), 수당 비교 공무직 급여는 지자체별(지역별), 기관별 모두 상이하고, 동일한 소속이라 할지라도 직종(직무) 별로도 적지 않은 차이가 있습니다. 2024년 ~ 2025년 기준 공무직 근로자의 세전, 세후 월급(연봉) 실수령액 및 수당 등을 비교해 보며 알아보겠습니다.  전국 여러 지자체중 광역단체로 부산시와 서울시, 기초단체로는 용인시 및 고양시, 정부기관으로는 국가보훈부(보훈지청)의 공무직 급여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 1) 모든 금액은 세전 금액입니다. 주 2) 2024년 ~ 2025년 기준 급여입니다. (책정 기준 연도 별도 표기되어 있습니다.) 주 3) 각 지자체(기관)의 채용공고문에 명기된 내용만 반영하였습니다. 주 4) 공무직에 대한 더 많은 정보는 아래 포스팅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공무직이란?.. 2025. 3. 4.
공무직이란? 뜻, 급여(월급), 수당, 연가(병가), 투잡, 공무원연금, 정년연장 공무직이란? 공무원과 명칭이 비슷한데, 정확히 어떤 직업을 지칭하는 뜻일까요? 급여(월급)는 얼마나 받게 되고, 퇴직 후에는 공무원연금 대상자가 되는 걸까요? 이러한 정보 외에도 수당, 연가, 병가, 투잡, 정년연장 등에 대한 정보까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공무직 Q & A 1. 공무직 뜻? 공무원과 비슷한 신분인가요?전혀 다른 신분입니다. 정식 명칭인 [공무원]과는 달리 [공무직]의 더 정확한 신분 명칭은 [무기계약 근로자]입니다. 즉, 기한의 정함이 없이(=무기한) 계속 근무하는 근로자라는 뜻입니다. 참고로, 근로자 신분이기 때문에 근로자의 날 (매 년 5월 1일) 휴무의 권리도 지니고 있습니다.  2. 공무원연금을 받게 되나요?위에서 언급했듯, 공무원이 아니며 일반 근로자이기 때문에 공무원 연금 대.. 2025. 2.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