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급여 및 교육비지원, 어떤 차이점이 있을까요? 나도 받을 수 있을까요? 두 가지 복지 서비스를 비교해 보고, 각 지원 금액을 알아보겠습니다. 그리고 혜택 수급을 위한 대상자 선정기준(자격) 및 신청 방법(온라인)까지 자세히 확인해 보겠습니다.
교육급여 & 교육비지원 비교
교육비지원은 다양한 선정기준에 따라 대상자의 자격유무를 확인합니다. 소득기준은 물론, 학교장추천 학생도 대상이 될 수 있으며, 한부모 가정이나 차상위대상자도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교육급여는 교육비지원 대비 지원대상자의 폭이 상이합니다. 가구의 소득을 기준으로 지원대상자를 선정하기 때문에 소득기준만 충족된다면 수급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현물을 지원하는 교육비지원과는 달리 교육활동을 위한 실제 급여(현금지급)를 원칙으로 합니다.
결론적으로, 가장 큰 차이점은,
교육급여 : 현금 지급, 기준중위소득 50% 이하
교육비지원 : 이용권 지급, 기준중위소득 60% 이하
정도로 설명할 수 있겠습니다.
지원 금액
교육비지원의 경우, 고등학교 입학금, 수업료, 학교운영지원비의 납부를 면제하고, 방과 후 활동을 위한 이용권을 지급하게 됩니다. 이 외 PC 및 인터넷 설치도 지원하고 있습니다.
교육급여는 교육활동지원비 명목으로 연 1회 지원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금액은 초등학생은 461천 원, 중학생은 654천 원, 고등학생은 727천 원입니다.
교육활동 지원비 (연 1회)
초등학교 : 461,000원
중학교 : 654,000원
고등학교 : 727,000원
신청방법 및 자격
먼저 신청자격으로 소득 부분에 대해 확인해 보겠습니다.
교육급여는 기준중위소득 50% 이하의 가정으로, 2024년 기준 가구인원수 대비 소득금액은 아래와 같습니다.
구분 | 기준중위소득의 50% |
2인가구 | 1,841,305 |
3인가구 | 2,357,329 |
4인가구 | 2,864,957 |
5인가구 | 3,347,868 |
교육비지원은 이보다 낮은 60% 이하의 가구부터 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구분 | 기준중위소득의 60% |
2인가구 | 1,473,044 |
3인가구 | 1,885,863 |
4인가구 | 2,291,965 |
5인가구 | 2,678,294 |
※ 참고 : 2024년 기준중위소득 금
2024년 기준중위소득 금액 (의료급여 국가유공자 적용)
국가유공자에게 적용되는 기준중위소득 금액은 특히 의료급여 수급 대상자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습니다. 일반 국민에게 적용되는 기준과는 상이한데, 이 차이점을 알아보고 가구
w.wean.co.kr
신청은 거주지 읍면동 사무소 혹은 온라인 복지로 홈페이지에서도 모두 가능합니다. 신청기한은 별도로 없으며, 연중 상시 접수할 수 있습니다.
서류준비 필요 없이 클릭 몇 번으로 완료되는 복지로 누리집을 통한 신청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복지로 누리집으로 진입합니다.
복지로 누리집 홈페이지 바로가기
복지로 누리집 홈페이지에서는 각종 제도에 대한 정보확인은 물론 기초연금, 초중고 교육비 지원, 아이돌봄 서비스, 청년월세 지원 등 개인 맞춤 복지서비스에 대해 모의계산과 온라인 신청까
w.wean.co.kr
2. 로그인 후, 화면 중앙 [서비스 신청]을 클릭합니다.
3. 교육비 지원은 [아동청소년] 항목에, 교육급여는 [저소득층] 항목에 있습니다. 각 [신청하기] 박스를 체크합니다.
4. 화면 제일 아래쪽 [저장 후 다음단계]를 클릭합니다.
5. 이후부터는 개인정보활용 동의, 신청대상자 확인 등을 작성해 주면 됩니다. 이로써 복지 서비스 신청이 간단히 완료되었습니다.
tip 1 신청내용 확인은 어떻게 할 수 있을까요?
복지로 홈페이지 메인 화면 우측 상단 [복지 지갑] 클릭 후 [서비스 신청 현황]으로 진입하면 내가 신청한 서비스의 신청 내용 및 처리 진행사항 확인까지 할 수 있습니다.
tip 2 각 처리완료까지 소요되는 기간은? (지급일은?)
신청 후 3일 ~ 7일 정도의 기간이 소요되며 처리사항은 휴대폰(SMS) 혹은 이메일로 수신할 수 있습니다.
이상 나도 받을 수 있을까? 교육급여 & 교육비지원 비교 차이점, 지원 금액, 신청 방법 및 자격 대상자에 대한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신청하는 방법 (지원조건 및 지원금) (0) | 2024.07.10 |
---|---|
2024 청년내일저축계좌 가입 조건(대상), 적립기간 및 정부지원금, 신청 방법 (0) | 2024.07.02 |
반려동물과 동반 출입 가능한 음식점? 관련 규정, 식당 찾는 방법 (0) | 2024.06.26 |
규제정보포털 누리집 홈페이지 바로가기 (0) | 2024.06.18 |
종합소득세 환급 언제? 환급일(기간) 및 환급금 입금 계좌번호 확인(변경) 방법 (0) | 2024.05.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