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55

위생용품이란? 종류, 판매량, 안전 정보 위생용품이란 보건위생을 위해 특별한 관리가 필요하여 지정된 19개 품목을 의미합니다. 이처럼 법률상으로 규정된 위생용품의 종류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기준 법령을 알아보고, 이에 근거한 위생용품의 종류, 판매량, 안전정보 등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위생용품 종류 법률 제17091호 위생용품 관리법 제2조와 동 법 시행령 별표 1에는 특별한 위생관리가 필요한 19개의 품목을 명기하고 있습니다. 1. 세척제 2. 헹굼 보조제 3. 위생물수건 4. 일회용 컵 5. 숟가락 6. 젓가락 7. 포크 8. 나이프 9. 일회용 빨대 10. 화장지 11. 일회용 행주 12. 일회용 타월 13. 일회용 종이 냅킨 14. 식품접객업소용 물티슈 15. 일회용 이쑤시개 16. 면봉 17. 일회용 기저귀 18. 일회용 팬티라이너(*.. 2023. 11. 3.
유제품 냉장식품 (빵, 햄, 발효유, 가공유) 유통기한 vs 소비기한 소비기한이란 보관방법을 준수한다면 표시된 기한 내 섭취해도 문제가 생기지 않는(= 안전에 이상 없는) 기한을 의미합니다. 특히 빵, 햄, 발효유, 가공유 등 유제품과 냉장식품에 대해 기존의 유통기한과 소비기한의 차이점을 살펴보겠습니다. 유통기한 vs 소비기한 소비기한은 근본적으로 유통기한에 의한 식량의 폐기를 감소시킴으로써 자원을 절약하고 지구환경보전에도 도움을 주게 됩니다. 이러한 유통기한과 소비기한의 차이점을 먼저 간략히 살펴보겠습니다. 유통기한은 제조일자 혹은 포장일자를 기준으로 품질한계 * 0.6 ~ 0.7일을 안전계수로 산출하여 최대 기한으로 산정합니다. 반면 소비기한의 안전계수는 품질한계 * 0.8 ~ 0.9까지를 상한선으로 하기 때문에 유통기한 대비 최대 1.5배 전후의 판매가능 기간을 지니.. 2023. 11. 1.
소금 나트륨 줄이기 : 음식 조리 전 조절, 먹을 때 섭취방법, 배출 도와주는 식재료 싱겁게 먹는다고 해서 나트륨을 안 먹은 것이 아닙니다. 직접 소금을 넣지 않았다고 해도 MSG에도 나트륨은 포함되어 있습니다. 소금 나트륨 줄이기로 음식 조리 전 조절 및 먹을 때 섭취방법 그리고 나트륨 배출을 도와주는 식재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음식 조리 전 조절 크게 세 가지 방법을 사용해 볼 수 있습니다. 먼저 가정간편식 등을 조리할 때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양념의 양 자체를 적게 넣는 것입니다. 두 번째는 햄이나 스팸 등 조리 시 뜨거운 물에 살짝 데치는 방법으로 나트륨을 덜어내는 것입니다. 마지막은 천연 원물 향신료를 사용하는 것인데, 간을 강하게 하는 것 대신 양파, 마늘, 허브 등을 사용하는 것이 좋은 방법입니다. 먹을 때 섭취방법 첫 번째는 국물 섭취를 줄이는 것입니다. 별도의 그릇을 준.. 2023. 10. 30.
2023 어린이 기호식품 품질인증 식품 수 (기준, 세부 목록) 2023년 기준 어린이 기호식품 품질인증 식품 수를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심사 기준을 살펴보고, 식품 유형별 인증을 획득한 총 식품 수 및 세부적인 품질인증 식품 목록을 확인하는 방법까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품질인증 기준 어린이 기호식품 품질인증 식품이란 안전하고 영양을 두루 갖춘 제품에 대해 심사한 후 품질을 인증한 식품을 의미합니다. 해당 인증을 받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3가지 기준을 통과해야 합니다. 먼저 HACCP 제품이어야 하며, 두 번째는 당류 혹은 포화지방이나 열량은 적어야 하며, 단백질, 비타민, 무기질, 식이섬유 등의 영양성분은 강화한 식품이어야 합니다. 마지막 세 번째는 식용 타르 색소 및 보존료도 사용해서는 안됩니다. 이러한 기준으로 2023년 6월 기준 총 459개의 식품이 품질인증.. 2023. 10.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