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78

전국 푸드트럭 현황, 적법 업소 확인 및 위생 불량 신고 방법 전국 지역별 푸드트럭은 얼마나 영업 중일까요? 전국에서 운영 중인 푸드트럭 업체 현황을 알아보겠습니다. 그리고 적법하게 영업신고 후 판매 중인지 확인하는 방법과 위법 혹은 위생불량등 문제 발생 시 신고하는 방법까지 살펴보겠습니다. 전국 푸드트럭 현황 전국에서 영업신고 된 푸드트럭은 2001개로, 이 중 절반 수준인 990개가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지역별, 권역별 현황도 살펴보겠습니다. 1. 수도권 (서울, 인천, 경기) : 990개(49.5%) 2. 부산, 울산, 경남 : 269개 3. 대전, 충청, 세종 : 260개 4. 광주, 전라 : 174개 5. 대구, 경북 : 165개 6. 강원 : 95개 7. 제주 : 48개 ※ 2022년 9월 30일 기준입니다. 푸드트럭은 = .. 2023. 10. 8.
상속세 및 증여세 미신고(무신고) 가산세 (부과사유 및 가산세액) 상속세 및 증여세 미신고 시 부과되는 가산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가장 일반적인 가산세 부과 사유가 무신고, 과소신고, 납부지연 등인데, 이러한 부과사유별 상이한 가산세액을 살펴보고, 지급명세서 등 서류 제출 위반에 따른 가산세도 확인해 보겠습니다. ※ 가산세의 경우 상속세, 증여세 동일 세율을 적용받습니다. 무신고 및 과소신고 일반적인 과소신고의 경우 10%, 부정 과소신고 시에는 40%의 가산세가 부과됩니다. 과소신고 대비 무신고시에는 좀 더 엄격한 가산세가 부과되는데, 가산세액은 일반 무신고 20%, 부정 무신고 40%입니다. 반면 아래의 경우인 경우 과소신고 가산세에서 제외가 가능합니다. 상속 혹은 증여재산 미확정 상태 (소유권에 대한 소송 진행 등) 세법에 의한 공제 적용 착오 시 상속 및 증.. 2023. 10. 6.
올바른 건강기능식품 구매, 섭취 방법 올바른 건강기능식품 구매 및 섭취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건강기능식품이란 일상생활 속 부족하기 쉬운 영양소 혹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지닌 원료 혹은 성분을 사용하여 여러 가지 제형으로 (정제, 액상, 캡슐 등) 제조하거나 가공한 식품을 의미합니다. 건강기능식품 구매, 섭취 방법은? 먼저 건강기능식품, 건강식품, 의약품은 각각 어떤 차이점이 있을까요? [건강식품]은 일반적으로 건강에 좋다는 식품을 지칭하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별도의 건강기능식품 문구 혹은 마크가 표기되어 있지는 않습니다. 반면 [건강기능식품]은 식품의약안전처로부터 부여받은 건강기능식품 마크가 표기되어 있으며, 성분 사용에 대한 안정성과 기능성이 보장되고 일일 섭취량 역시 정해져 있는 식품을 의미합니다. 마지막으로 의약품은 질병을 직접적.. 2023. 10. 4.
식품안전나라 누리집 홈페이지 바로가기 식품안전나라 누리집 홈페이지에서는 모든 식품안전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히 회수, 판매중지상품에 대한 정보와 국내식품 및 수입식품 중 부적합한 식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각종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정보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 식품안전나라 누리집 홈페이지 바로가기 식품안전나라 안녕하세요. 식품안전나라 메뉴 안내봇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 www.foodsafetykorea.go.kr 2023. 10. 2.
상속세 법정 신고 납부 기한 (거주자, 비거주자) 및 제출서류 피상속인의 신분에 따른 법정 상속세 신고 및 납부 기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거주자와 비거주자의 뜻과 의미, 자격 요건을 살펴보고, 각 신고납부기한과 필수 (추가) 제출서류까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신고 납부 기한 피상속인이 거주자인 경우에는 상속 개시일이 속한 달의 마지막 날부터 6개월 이내 납부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1월 10일이 상속 개시일이라면, 1월 31일을 기준으로 6월 이내, 즉 7월 31일이 신고 납부 마감 기한이 됩니다. 만약 피상속인이나 상속인 전원이 비거주자라면 거주자인 경우와 비교하여 신고 납부를 위한 3개월의 추가 기한이 부여됩니다. 즉 상속개시일이 속한 달의 말일 기준 9개월 이내 납부를 완료하면 됩니다. 위 예시와 동일한 경우를 가정한다면 10월 31일이 신고 마감기한이.. 2023. 9. 30.
국가유공자 금융 지원 혜택 : 비과세종합저축 소득세 비과세 & 연말정산 국가유공자가 지원받을 수 있는 금융혜택 중 비과세 종합저축 소득세 비과세 및 연말정산 시 금액 추가 공제 혜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각 혜택별 세부 내용과 유공자 유형별 지원 대상자 그리고 관련 근거법령까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비과세 종합저축 소득세 비과세 이자 소득에 대한 소득세를 면제받을 수 있는데, 5천만 원 이하 비과세 종합저축 가입 시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가입 직전 3개 연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자 이력이 있다면 지원 대상에서 제외되며, 해당 법령은 일몰법으로 1년마다 법령이 개정될 수 있습니다. ▷ 지원 대상 국가유공자 독립유공자 및 유가족 전상 공상 군경 및 공상공무원 4.19 부상자, 5.18 민주 유공자, 6.18 자유상이자 고엽제후유의증환자 ▷ 근거 법령 조세.. 2023. 9.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