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06

오메가 3 란? 뜻, EPA DHA 함량별 일일 섭취량, 섭취 시 주의사항 올바른 오메가 3 섭취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주요 원료 성분과 신체 어떤 부분의 건강 기능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지 뜻을 알아보고, EPA 및 DHA 함량별 일일 권장 섭취량 그리고 섭취 시 주의사항까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오메가 3 란? 뜻 오메가-3는 EPA, DHA 함유 유지를 원료로 제조하게 됩니다. 주요 기능으로 건조한 눈과 기억력 개선, 혈행 및 혈중 중성지질 개선등이 있으며, 이러한 기능을 인정받아 건강기능식품으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오메가 3의 국내 판매량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2022년 기준 2020년 대비 109%의 판매액 증가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2020년 판매액 1,247억, 2022년 판매액 2,610억) ※ 데이터 출처 : 2022 식품 등의 생산.. 2023. 10. 16.
소고기 부위 연간 판매량 (구입액), 요리별 사용부위 소고기 부위마다 연간 판매량 (구입액) 및 요리별 사용부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등심, 안심, 갈비 등 연간 구입 금액을 기준으로 최다 판매 부위를 알아보고, 탕국이나 산적, 꼬치 등 요리별로 적합한 부위 종류에 대해서도 확인해 보겠습니다. 부위별 판매량 소의 부위별 연간 구입액을 살펴보자면 양지가 최다 판매량을 보이며, 이어 갈비, 등심, 앞다리 순으로 구입액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부위 : 연간 구입액(원) / 비중(%) 양지 : 51,766 / 16% 갈비 : 46,875 / 14.5% 등심 : 46,671 / 14.5% 앞다리 : 19,905 / 6.2% 설도 : 13,217 / 4.1% 사태 : 9,969 / 3.1% 우둔 : 9,312 / 2.9% 안심 : 8,337 / 2.6% .. 2023. 10. 14.
천연벌꿀? 사양벌꿀? 꿀의 종류, 효능 및 유통기한(보관방법) 천연벌꿀? 사양벌꿀? 가격에서도 큰 차이를 보이는 꿀의 종류, 어떤 다른 점이 있을까요? 꿀이 만들어지는 과정 등 벌꿀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를 살펴보고, 다양한 꿀의 종류 그리고 효능 및 보관방법, 유통기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벌꿀이란? (천연 vs 사양벌꿀) 우리나라에서 꿀벌을 키우는 가구는 얼마나 있을까요? 재래종(토종벌)보다 개량종(서양종)을 사육하는 경우가 더 많지만, 꿀벌 사육 전체적으로 보자면 꿀벌사육 총 가구수는 계속 증가하고 있습니다. ▷ 전국 꿀벌사육 가구2017년 24,691호 → 2018년 26,545호 → 2019년 29,113호※ 자료 출처 : 2020년 농림축산식품부 발간 2019년 기타 가축 통계 약 1kg의 꿀을 만들기 위해 꿀벌 1마리가 얼마나 많은 일을 해야 .. 2023. 10. 12.
천일염? 정제소금? 소금 종류, 판매량, 보관방법 및 유통기한 천일염, 정제소금, 재제소금 등 소금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소금종류별 제조 방식과 가공기준에 따른 차이점을 알아보고, 어떤 소금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지 품목별 판매액과 함께 보관방법 및 유통기한도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소금 종류 식품의약품안전처고시 제2023-56호 식품의 기준 및 규격에 따르면 소금은 크게 6가지로 구분됩니다. 각각의 채취 방식과 차이점을 살펴보겠습니다. 1. 천일염 염전에서 해수를 자연 증발시켜 얻은 소금입니다. 2. 재제소금(재제조소금) 원료가 되는 100% 소금을 바닷물과 정제수를 이용하여 용해-여과-침전-재결정-탈수 등의 과정을 거쳐 제조한 것입니다. 3. 태움, 용융소금 원료 소금(100%) 태우거나 녹이는 방식으로 그 원형을 변형한 소금입니다. 죽염 등이 해당합.. 2023. 10. 10.
전국 푸드트럭 현황, 적법 업소 확인 및 위생 불량 신고 방법 전국 지역별 푸드트럭은 얼마나 영업 중일까요? 전국에서 운영 중인 푸드트럭 업체 현황을 알아보겠습니다. 그리고 적법하게 영업신고 후 판매 중인지 확인하는 방법과 위법 혹은 위생불량등 문제 발생 시 신고하는 방법까지 살펴보겠습니다. 전국 푸드트럭 현황 전국에서 영업신고 된 푸드트럭은 2001개로, 이 중 절반 수준인 990개가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지역별, 권역별 현황도 살펴보겠습니다. 1. 수도권 (서울, 인천, 경기) : 990개(49.5%) 2. 부산, 울산, 경남 : 269개 3. 대전, 충청, 세종 : 260개 4. 광주, 전라 : 174개 5. 대구, 경북 : 165개 6. 강원 : 95개 7. 제주 : 48개 ※ 2022년 9월 30일 기준입니다. 푸드트럭은 = .. 2023. 10. 8.
상속세 및 증여세 미신고(무신고) 가산세 (부과사유 및 가산세액) 상속세 및 증여세 미신고 시 부과되는 가산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가장 일반적인 가산세 부과 사유가 무신고, 과소신고, 납부지연 등인데, 이러한 부과사유별 상이한 가산세액을 살펴보고, 지급명세서 등 서류 제출 위반에 따른 가산세도 확인해 보겠습니다. ※ 가산세의 경우 상속세, 증여세 동일 세율을 적용받습니다. 무신고 및 과소신고 일반적인 과소신고의 경우 10%, 부정 과소신고 시에는 40%의 가산세가 부과됩니다. 과소신고 대비 무신고시에는 좀 더 엄격한 가산세가 부과되는데, 가산세액은 일반 무신고 20%, 부정 무신고 40%입니다. 반면 아래의 경우인 경우 과소신고 가산세에서 제외가 가능합니다. 상속 혹은 증여재산 미확정 상태 (소유권에 대한 소송 진행 등) 세법에 의한 공제 적용 착오 시 상속 및 증.. 2023. 10. 6.